건강정보

턱관절 통증 원인과 치료, 구강안면통증 완화하는 방법

salud21 2025. 3. 16. 04:35
728x90
반응형

이번 포스팅에서는 턱관절 통증 원인과 치료법 그리고 구강안면통증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.

턱관절 구강안면통증이란?



턱관절(Temporomandibular Joint, TMJ)은 아래턱뼈와 두개골을 연결하는 관절로, 씹기, 말하기, 하품하기 등 다양한 움직임을 담당하는 중요한 기관입니다. 하지만 턱관절에 문제가 생기면 단순한 불편함을 넘어 심각한 통증과 기능 장애를 초래할 수 있습니다. 특히, 턱관절 장애(TMD, Temporomandibular Disorder)로 인해 발생하는 통증이 얼굴, 목, 귀 주변까지 퍼지는 경우 이를 "구강안면통증(Orofacial Pain)"이라고 부릅니다.

이러한 통증은 초기에는 가볍게 지나갈 수 있지만, 치료하지 않으면 만성적인 상태로 진행될 가능성이 큽니다. 따라서 턱관절 장애의 증상을 조기에 인지하고 적절한 치료와 예방 방법을 적용하는 것이 중요합니다.

턱관절 구강안면통증의 주요 증상



1. 턱을 움직일 때 통증 발생

음식을 씹거나 말을 할 때 턱 주변에 통증이 나타납니다.
통증의 강도는 경미한 불편감에서부터 심한 통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.
심한 경우 입을 벌리거나 닫을 때 걸리는 느낌이 들고, 움직임이 제한될 수 있습니다.

2. 턱관절에서 소리가 남

입을 벌리거나 닫을 때 "딱", "우두둑", "뚝" 하는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.
소리가 나면서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 턱관절 장애의 신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턱관절이 과도하게 긴장되었거나 관절 내 디스크 변위가 있을 수 있습니다.

3. 얼굴, 귀, 목 주변 통증

턱관절 문제로 인해 통증이 얼굴 전체로 퍼질 수 있습니다.
특히 귀 앞쪽과 아래쪽, 목 주변, 심지어 두통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.
귀 울림(이명)이나 어지럼증이 동반될 수도 있습니다.

4. 입이 잘 벌어지지 않음

입을 크게 벌리기 어렵거나 벌릴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
심한 경우 입이 거의 열리지 않는 "턱 잠김"(Lock Jaw) 현상이 나타날 수 있습니다.

5. 씹는 근육의 피로감 및 불균형

특정 음식을 씹을 때 한쪽 턱만 피로감이 느껴지거나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.
심한 경우 얼굴의 좌우 대칭이 불균형해지는 현상이 발생할 수 있습니다.

턱관절 구강안면통증의 원인

1. 나쁜 자세와 생활 습관

턱을 괴는 습관, 한쪽으로만 씹는 습관이 턱관절에 부담을 줍니다.
스마트폰, 컴퓨터 사용 시 고개를 앞으로 숙이는 자세도 턱관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잘못된 수면 자세도 턱관절의 정렬에 영향을 주어 통증을 유발할 수 있습니다.

2. 이갈이와 이악물기(Bruxism)

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이를 가는 습관은 턱관절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합니다.
스트레스가 많을 경우 낮 동안에도 무의식적으로 이를 악무는 습관이 생길 수 있습니다.

3. 교합 이상 및 치아 문제

치아가 고르게 맞물리지 않는 경우 턱관절에 지속적인 부담이 가해집니다.
부정교합이 심하면 턱이 한쪽으로 치우쳐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.
사랑니가 미맹출 상태로 존재할 경우 턱관절 통증을 유발할 가능성이 있습니다.

4. 외상 및 사고

교통사고나 스포츠 활동 중 턱 부위에 충격을 받으면 턱관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.
턱관절을 다친 후 즉각적인 통증이 없더라도 장기적으로 장애를 유발할 수 있습니다.

턱관절 구강안면통증의 치료법



1. 자가 관리법

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합니다.
얼음찜질과 온찜질을 번갈아 하여 턱 근육을 이완시킵니다.
입을 과도하게 벌리는 행동(하품, 큰 음식 씹기)을 피합니다.
스트레칭 운동을 통해 턱관절 주변 근육을 부드럽게 합니다.

2. 물리치료 및 마사지

턱과 목 주변 근육을 이완시키는 물리치료가 효과적입니다.
턱관절 운동법(예: 입을 천천히 벌렸다가 닫기, 손가락으로 턱 지지하기)을 시행합니다.

3. 치과 및 병원 치료

치과에서 교합 조정을 통해 턱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심한 경우 스플린트(마우스피스) 치료를 통해 턱관절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.
필요하면 약물 치료(소염진통제, 근육이완제)를 병행할 수도 있습니다.

턱관절 통증 예방하는 방법

바른 자세 유지: 스마트폰 사용 시 고개를 숙이지 않고, 올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.
잘못된 습관 개선: 턱을 괴는 습관을 피하고 양쪽 치아를 균형 있게 사용합니다.
스트레스 관리: 명상이나 가벼운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합니다.
수면 습관 개선: 높은 베개 사용을 피하고 옆으로 누워 자는 습관을 조정합니다.

주의해야 할 점과 특이사항



증상이 악화되면 방치하지 말고 치과나 이비인후과를 방문해야 합니다.
턱관절 장애가 지속되면 만성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.
턱관절 수술은 최후의 선택이며, 조기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
턱관절 구강안면통증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. 턱관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올바른 습관을 기르고, 통증이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. 꾸준한 관리로 건강한 턱관절을 유지하세요.

 

 

728x90
반응형